진행의식을 좀더 경건하게 이끌게 될때 그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됩니다.
입장→캠프파이어 개회선언→의식→점화(폭죽)→간단한 게임→장기자랑→어울림 한마당→마무리 (촛불의식)
1.입장
경쾌한 행진곡에 맞추어 조별로 장작을 중심으로 한바퀴 돌아서 입장.(어린이의 경우 분장을 하기도 한다)
2.개회선언
대표되는 사람이 캠프파이어 개회를 선언합니다.(간단한 메시지 준비)
3.점화
캠프파이어시 점화는 점화봉을 만들어서 솜이나 붕대를 감고 채화를 해서 점화자를 정하여 화목에 직접 점화하는 방법이 제일 의미있는 점화방법입니다. 음악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마력이 있습니다. 음악은 장엄한 음악이 좋습니다. 너무나 가벼운 음악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 음악이 점화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음악과 함께 점화를 하고, 모닥불에 점화가 되는 순간에는 터질듯한 긴장의 폭발을 느낄수 있는 음악과 함께 준비된 폭죽을 발사합니다.
4.불의축제
폭죽이 끝나면서 곧바로 여흥의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박수치며 또는 함께 몸을 흔들며 부를수 있는 빠른 노래를 몇곡을 같이 부르며 집중 시킵니다.
-모닥불 아래에서의 수건 돌리기게임은 정말 낭만적입니다. 그리고 간단한 스킨쉽게임과 파트너게임등이 준비되어 있으면 진행 합니다.
-조별 장기자랑 저녁 식사후나 캠프파이어 하기 전에 짜투리 시간을 주어 조별로 촌극, 율동,등을 미리 준비하게 합니다. 길어지면 지루해지므로 팀당 시간을 정해줍니다.
-전체가 하나가 될 수 있는 어울림 한마당 등을 진행합니다. 댄스파티, 포크댄스, 동대문놀이 등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면 됩니다.
5.마무리 (촛불의식)
마무리 의식에서 조용한 배경음악으로 짜맞추기를 해서 준비를 한다면 정말 환상적인 캠프파이어를 연출해낼수 있을 겁니다.
조용한 배경음악 - 진행자의 나레이션 낭독 - 기원 - 촛불행진 - 윤회악수
|